안녕하세요 서른여섯 번째 리뷰입니다. 최근에 리뷰가 뜸했었는데요. 현생이 바빠지다 보니... 리뷰가 늦었네요 ㅠㅠ 벌써 올해도 2달밖에 안 남은 것 같고 여러분도 그렇지 않으신가요~? ㅎㅎ 오늘 소개해드릴 플러그인은 'Wikipedia'입니다. 이미지와 이름만 들어도 이번 플러그인은 어떤 기능인지 알 것 같네요. 어쩌면 친숙할 수 있는 플러그인의 기능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Wikipedia 플러그인에 대해 알려줄래?
물론이죠! Wikipedia 플러그인은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정보를 Wikipedia에서 검색하여 답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일반 지식, 현재 사건, 또는 최신 뉴스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할 때 Wikipedia에서 해당 정보를 찾아서 제공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검색: 사용자의 질문을 기반으로 Wikipedia에서 정보를 검색합니다.
정보 제공: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랑스의 역사"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Wikipedia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Wikipedia에서 "프랑스의 역사"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을 사용할 때는 wikipedia.search_wikipedia_search_wikipedia_get 함수를 호출하여 Wikipedia에서 정보를 검색하게 됩니다. 이 함수는 검색어와 사용자의 원래 입력을 인자로 받아서 Wikipedia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환합니다.
이 플러그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역시 위키백과였군요. 요즘은 나무위키(꺼무위키)를 더 많이 봤던것 같지만 그럼에도 많이 친숙하고 반가운 플러그인이네요. 어렸을 때부터 검색하면 네이버 지식in 다음으로 많이 봤던 서비스였는데 과연 플러그인으로는 어떤 식으로 제공해 주는지 이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줄래?
어....음....참담하네요...(믿었던 너마저 플러그인 오류) 혹시 몰라서 위키백과 홈페이지를 들어가 봤습니다. 문제는 없어 보이는데... GPT 플러그인 관련 서비스에 문제가 있나 보네요. ㅠㅠ 최근 들어 이런 식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플러그인들이 많은 것 같은데... 하지만 그래도 유명한 사이트인데 빠른 포기보다는 직접 다른 질문을 해봤습니다.
스타크래프트에 대해 검색해줘
스타크래프트(StarCraft)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1. StarCraft: Remastered:
"StarCraft: Remastered"는 1998년에 출시된 실시간 전략 비디오 게임인 "StarCraft"와 그 확장팩 "Brood War"의 리마스터 버전입니다. 이 게임은 2017년 8월 14일에 출시되었으며, 원래의 "StarCraft"의 게임플레이를 유지하면서 초고화질 그래픽, 재녹음된 오디오 및 Blizzard의 현대적인 온라인 기능 세트를 특징으로 합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
2. Lim Yo-hwan (BoxeR):
Lim Yo-hwan은 "SlayerS_'BoxeR'"라는 온라인 별명으로 알려진 전직 프로 스타크래프트 선수입니다. 그는 "The Terran Emperor" 또는 "The Emperor"로도 불리며, 장르의 가장 성공한 선수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
3. Krafton:
Krafton Inc. 는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지주 회사로, "TERA", "PUBG: Battlegrounds", "New State Mobile", "Moonbreaker"와 같은 주목할만한 비디오 게임 타이틀을 제작하거나 소유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
4. Korea StarCraft League (KSL):
Korea StarCraft League (KSL)은 Blizzard Entertainment가 대한민국에서 주최한 "StarCraft: Remastered" 토너먼트 시리즈였습니다. 이 리그는 2018년 6월에 발표되었으며, 그다음 달에 첫 시즌이 시작되었습니다. KSL은 2020년 3월에 4 시즌(즉, 토너먼트) 후에 중단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
이 내용은 Wikipedia에서 가져온 정보입니다, 자원 봉사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무료 백과사전이며, 비영리 단체인 Wikimedia Foundation에서 호스팅 하고 있습니다. 기부를 통해 당사의 비영리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Wikipedia의 내용을 정확하게 요약하지 않았을 수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Wikipedia 플러그인 경험이 어떠셨나요? 이 짧고 익명의 설문 조사에 응답하여 Wikimedia Foundation이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설문 조사는 3분이 소요됩니다.
문뜩 떠올라서 검색했더니 성공적이었네요. 역시 스타크래프트는 다른 걸까요 ㅋㅋ. 위키백과로 스타크래프트 관련된 검색을 한 뒤 요약으로 몇 가지를 보여주고 해당 검색화면으로 링크를 제공하는 방식이네요. 오랜만에 보는 검색결과 화면이네요. 그리고 놀라우면서 반가운 BoxerR... 역시 황제 요즘은 페이커 선수를 더 많이 알겠죠? (세월이......)
그리고 GPT 플러그인이니 GPT에 대해서도 검색해 봤습니다.
GPT에 대해 검색해 줘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1. GPT-4: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4 (GPT-4)는 OpenAI에 의해 생성된 다중 모달 큰 언어 모델로, GPT 기반 모델의 네 번째 시리즈입니다. 이 모델은 2023년 3월 14일에 처음으로 출시되었으며, 유료 챗봇 제품인 ChatGPT Plus 및 OpenAI의 API를 통해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PT-4는 트랜스포머 기반 모델로, 공개 데이터와 "제삼자 제공자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전 훈련을 통해 다음 토큰을 예측하는 패러다임을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
2. ChatGPT:
ChatGPT는 OpenAI에 의해 개발된 큰 언어 모델 기반의 챗봇으로, 2022년 11월 30일에 출시되었습니다. 이 챗봇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형식, 스타일, 세부 정보 수준 및 언어로 대화를 조정하고 세밀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ChatGPT는 GPT-3.5 또는 GPT-4를 기반으로 하며, Google에 의해 개발된 트랜스포머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OpenAI의 독점적인 GPT 모델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
3. GPT-3: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3 (GPT-3)는 2020년에 OpenAI에 의해 출시된 큰 언어 모델입니다. GPT-3는 그 전임자인 GPT-2와 마찬가지로 깊은 신경망의 디코더 전용 트랜스포머 모델로, 이전의 순환 및 합성곱 기반 아키텍처 대신 주의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
4. Auto-GPT:
Auto-GPT는 자연어로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위 작업으로 분해하고 인터넷 및 기타 도구를 자동 루프에서 사용하여 시도하는 "AI 에이전트"입니다. 이것은 OpenAI의 GPT-4 또는 GPT-3.5 API를 사용하며, GPT-4를 사용하여 자동 작업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중 첫 번째 예입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
이 내용은 Wikipedia에서 가져온 정보입니다, 자원 봉사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무료 백과사전이며, 비영리 단체인 Wikimedia Foundation에서 호스팅 하고 있습니다. 기부를 통해 당사의 비영리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Wikipedia의 내용을 정확하게 요약하지 않았을 수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Wikipedia 플러그인 경험이 어떠셨나요? 이 짧고 익명의 설문 조사에 응답하여 Wikimedia Foundation이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설문 조사는 3분이 소요됩니다.
GPT 관련된 질문에도 정상적인 답변이 돌아오네요. 예시를 들어달라고 했던 프랑스 역사 관련된 내용만 이상했던 것인지... 그래도 최근에 리뷰했던 플러그인보다는 상황이 나아 다행입니다. 이번에 플러그인은 그동안 추억 속에 있었던 위키백과를 다시 보게 된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최근 들어 리뷰 중 오류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상태가 아닌 것들도 리뷰에 그대로 쓰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이런 것들은 리뷰를 하지 말까 라는 생각이었지만. 결국 어떤 플러그인이 어떤 기능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태는 정상인지도 공유하는 게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쓰게 되었습니다. (혹시라도 오류 표시하고 획지 나가는 거 아니야라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있을까 적어봤습니다 ㅎㅎ)
이번글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GPT 생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T 플러그인 어디까지 써봤니? (Welt NewsVerse & 38) (92) | 2023.11.07 |
---|---|
GPT 플러그인 어디까지 써봤니? (Whimsical Diagrams & 37) (75) | 2023.11.01 |
GPT-4와 함께하는 새로운 탐색 경험: Browse with Bing 소개 (76) | 2023.10.18 |
GPT 플러그인 어디까지 써봤니? (Wisecube Orpheus & 35) (4) | 2023.10.18 |
GPT 플러그인 어디까지 써봤니? (Aalii FileChat & 34) (75) | 2023.10.15 |